이제 구글은 앞으로 한 발 더 큰 걸음을 내딛고 있습니다. 구글의 퀀텀 AI(Quantum AI) 연구원들은 큐비트(Qubit) 수를 늘려 오류를 줄일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최초로 증명했습니다. 양자 컴퓨팅에서 '큐비트'란 단순히 0과 1이 아닌, 그 이상으로 확장되어 다양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양자 정보의 기본 단위입니다. 이번에 구글이 이룬 혁신은 양자 컴퓨터의 작동 방식에 있어 중대한 변화를 상징합니다. 양자 프로세서의 물리적 큐비트를 하나씩 작업하는 대신, 여러 개의 큐비트로 이루어진 집합을 하나의 논리 큐비트(logical qubit)로 다룬다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17개의 물리적 큐비트로 만든 하나의 논리 큐비트 보다 49개의 물리적 큐비트로 만든 논리 큐비트가 더욱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구글의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Nature)’에도 게재되었습니다.
양자 오류 보정은 여러 물리적 큐비트 전반에 정보를 인코딩해 보호함으로써 "논리 큐비트"를 구성합니다. 이 방법은 중요한 계산에 사용될 수 있을 만큼 오류율이 충분히 낮은 대규모 양자 컴퓨터를 제작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별 큐비트 자체로 계산하는 대신, 논리 큐비트를 기반으로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향후에는 양자 프로세서에서 더 많은 물리적 큐비트를 하나의 논리 큐비트로 인코딩해 오류율을 낮춤으로써, 더욱 유용한 양자 알고리즘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구글의 양자 컴퓨팅이 이용자, 고객, 파트너, 그리고 우리의 미래에 어떤 의미를 갖게 될지 생각해보면, 매우 기대됩니다.
구글은 양자 컴퓨터가 기존 컴퓨터와 조화를 이루면서 인간 지식의 한계를 허물고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문제의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그 날을 향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Google
취재 문의 이메일 주소: skr-google@ketchum.com 미디어 취재 문의가 아닌 경우 응답해 드리지 않습니다. 다른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Google 도움말 센터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