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현장에서 더 포용적인 피부색 인식을 위한 몽크 스킨톤 연구 관련 데모 부스 시연이 진행되고 있는 모습
같은 날 오후에는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과기정통부와 함께 ‘구글-AI 혁신허브 제2차 학술교류회’가 진행됐습니다. 이번 학술교류회에서는 구글 연구진들을 비롯해 AI 혁신허브 연구 책임자인 이성환 고려대 교수 등 국내외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분야 산학 전문가를 중심으로 그간의 구글 및 한국의 주요 AI 연구 성과를 공유했습니다.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진행된 구글-AI 혁신허브 제2차 학술교류회 현장 모습
구글의 책임감 있는 AI를 포함해 국내에서는 생성형 AI 확산 모델을 확장해 고차원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PVDM' 모델, 의학분야에서 기계와 의료진의 판단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상호작용 AI' 기술, 단백질 3차원 구조를 예측하여 과학 및 사회 난제 극복을 위해 힘쓰는 ‘딥폴드’ 기술 개발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연구 성과가 소개되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AI 산업의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협력한 사례들을 짚어보며 앞으로의 산학 공동연구 등 연구 협업 고도화 방안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이어갔습니다.

구글-AI 혁신허브 제2차 학술교류회에서 구글 연구진들과 AI 혁신허브 관계자 단체사진
이번 2차 학술대회는 지난 7월 대한민국의 AI 방향성을 함께 논의했던 ‘인공지능위크 2023’의 성과를 이어가는 행사입니다. 구글과 과기정통부는 인공지능위크 2023를 성공적으로 공동 주최하고 한국의 인공지능 분야 발전을 위해 인재양성 및 연구개발 분야의 협업확대를 약속하며, 그 일환으로 국내 학계를 대표하는 AI 혁신허브 연구진과 구글 연구진의 첫번째 학술교류회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특히, AI를 전공하는 대학원생까지 참여하도록 해 국내 인재들이 최신 AI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구글과 과기정통부는 이번 리서치@코리아 행사와 학술교류회 진행에 의미를 부여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공동 연구 기회와 AI의 미래를 함께 찾아갈 것을 약속했습니다.
작성자: 구글코리아 블로그 운영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