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13년 10월 30일 수요일

구글코리아는 오늘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 www.hangeul.go.kr)에서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과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고 세계 속 한국 문화의 융성을 위한 협력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작성일: 2013년 10월 30일 수요일

구글코리아는 오늘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www.hangeul.go.kr)에서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과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고 세계 속 한국 문화의 융성을 위한 협력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발표는 2011년 구글과 문화체육관광부가 맺은 ‘문화 및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 협약서’의 연장선 상에 있는 것으로 오늘은 특히 2014년 개관 예정인 국립한글박물관에 대한 구글의 지원계획을 추가적으로 발표했습니다.

구글은 국립한글박물관 건립과 관련해 박물관 내에 설치될 ‘어린이 교육체험실’ 일부와 외국인들이 한글을 배우고 직접 써보는 체험공간인 ‘한글배움터’, 온라인상에서 한글의 기본원리를 배울 수 있는 웹프로그램 개발 등에 재원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이 중 특히 한글 교육 웹 프로그램은 한류와 더불어 한글에 관심을 갖게된 외국인들이 한글의 우수성을 직접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자간담회에서 유진룡 장관과 에릭 슈미트 회장이 직접 함께 쓴 “한글 사랑 - 구글 국립한글박물관 기부 기념" 문구를 들고 서 있다

구글이 국립한글박물관을 지원한다는 것이 어떻게 보면 좀 뜻밖이라고 여기실 수도 있겠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자랑스러워하고 또 세계에 알리고 싶은 문화가 무엇일까 생각했을 때 한글을 떠올리시는 분들이 많이 계실 것 같습니다. 구글 역시 한글에 담긴 혁신의 정신을 깊이 존경하고 있습니다. 또한 백성들이 배우기 쉽고 쓰기 쉬운 문자를 만들고자 했던 한글 창제의 취지는 “전세계 정보를 체계화하여 모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라는 구글의 미션과도 일맥상통합니다.

이번 국립한글박물관 기부를 기념하여 구글 기념일 로고 디자이너로 유명한 데니스 황(황정목)도 한글 특별 로고를 만들었습니다. 한글의 중요성과 깊은 역사를 표현하기 위해 병풍에 구글을 새기고, 병풍의 왼쪽에는 한글의 생명력을 상징하는 나뭇가지와 꽃으로 한글의 '한'자를 형상화하여 구글의 '글'자와 이어 읽으면 '한글'이 되도록 재미있게 디자인했는데 어떠신지요?

데니스황의 기념 로고

구글과 국립한글박물관의 이번 협력을 통해 앞으로 한글의 문화적 가치가 전 세계에 더 널리 알려지기를 기대해봅니다. 앞으로 진행되는 프로젝트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작성자: 구글코리아 커뮤니케이션팀 박선경 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