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어만 봐, 답은 이미 있응께^^ - 구글 Q&A 검색
2009년 8월 31일 월요일
안녕하세요. 구글 한국 R&D 센터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는 서동일입니다. 런칭한지 얼마 안되어 아직도 따끈따끈한 제품인, 구글 Q&A검색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미 사용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인터넷에 흩어져 있는 다양한 Q&A 페이지들만을 따로 모아서 쉽게 검색할 수 있게 해주는 검색 서비스입니다. 구글이 이처럼 Q&A 콘텐츠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다름아닌 많은 검색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콘텐츠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사용자에 집중하라 (Focus On Users)"라고 하는 구글 철학을 반영한 것입니다.Read More
작성일: 2009년 8월 31일 월요일
Q&A 검색은 현재 구글 한국어 검색 페이지의 검색결과와 연동되어 있으며 Q&A 검색 페이지로 이동하셔서 직접 이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우선 Q&A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Q&A 서비스에 대해서 잠시 이야기해 볼까요?
Q&A 서비스
Q&A 서비스는 사용자들이 질문을 올리면 거기에 대한 답변을 제공해주는 서비스입니다. 답변을 제공해주는 사람은 일반 사용자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OKWave라는 회사에 의해서 일본에서 최초로 시도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회사의 설립자는 재일한국인 카네모토 카네토(兼元謙任)씨로 1999년 7월 회사를 설립, 2000년 1월에 세계 최초로 사이트를 오픈하였다고 합니다. 현재까지 네이버 지식인, 야후 앤서스(Yahoo Answers), 바이두 지다오(百度知道) 등 많은 Q&A 사이트들이 전세계의 사용자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Q&A 서비스가 이처럼 성공적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Q&A 형식, 즉 묻고 답하기라는 형식이 가지는 독특한 힘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Q&A 형식이 가지는 특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Q&A 형식의 특징
지식의 표현방식이라는 측면에서 Q&A 형식이 가지는 특징을 아래의 네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습니다.
첫째, Q&A 형식은 지식을 체계화하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Q&A 형식은 지식을 체계화하는 과정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이면서 가장 많이 통용되는 방법중의 하나입니다. 가령 우리는 생각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자기 스스로에게 질문을 하는 방법을 사용할때가 많습니다. 또한 현대 과학문명의 첩병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자들은 연구과정에 있어서 커뮤니티 내의 동료들과 서로 묻고 답하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서 지식을 객관화하고 체계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구글 Q&A 검색은 Q&A 콘텐츠를 직접 생산하는 Q&A 서비스와는 달리 이미 인터넷에 존재하는 다양한 Q&A 콘텐츠들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검색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구글 한국 R&D 센터에서 근무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의 주도하에 개발되었으며 한국 사용자들께 최초로 서비스 중에 있습니다. 구글의 미션이 "세상의 정보를 수집하고 조직화해서 누구나 접근 가능하고 유용하게 만드는 것"이라면 Q&A 검색의 미션은 바로 "세상의 Q&A들을 수집하고 조직화해서 누구나 접근 가능하고 유용하게 만드는 것"이 되겠습니다. Q&A 검색의 특징은 구글 특유의 빠른 검색 속도와 검색 대상이 되는 콘텐츠의 다양성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009년 3월 28일 서비스 개시 이후 사용자 눈에는 잘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내부적으로 많은 변화를 거치면서 내실을 다져왔습니다. 앞으로는 눈에 보이는 변화를 시도할 단계인 것 같습니다. 앞으로 부단한 혁신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검색 팁을 몇 가지 소개하며 글을 마칠까 합니다.
특정 URL 패턴을 가지는 페이지들을 대상으로 검색하기




작성자: 구글코리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서동일
첫째, Q&A 형식은 지식을 체계화하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Q&A 형식은 지식을 체계화하는 과정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이면서 가장 많이 통용되는 방법중의 하나입니다. 가령 우리는 생각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자기 스스로에게 질문을 하는 방법을 사용할때가 많습니다. 또한 현대 과학문명의 첩병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자들은 연구과정에 있어서 커뮤니티 내의 동료들과 서로 묻고 답하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서 지식을 객관화하고 체계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둘째, Q&A 형식은 지식을 전달하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지식을 전달하는 가장 기본적인 형식이 묻고 답하는 과정이라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지식을 필요로 하는 측에서 질문을 작성해서 전달하면 지식을 제공하는 측에서 답변을 작성하여 전달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지식은 쉽게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전파됩니다. 이런 묻고 답하기 형식은 선승(禪僧)들 사이에서 선문답(禪問答)이라 하여 서로의 깨달음을 깊이를 점검하는 도구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셋째, Q&A 형식은 지식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묻고 답하는 것은 지식의 전달 과정임과 동시에 지식 콘텐츠의 생성과정이기도 합니다. 이런 방식은 여러 사람이 협업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지식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실제 필요로 한 내용을 묻고 답한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 생성된 콘텐츠는 이 세상에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수요자가 있는 지식 콘텐츠라는 점입니다. 콘텐츠는 다시 사용될 가능성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그 가치도 올라갑니다.
마지막으로 Q&A 형식은 지식을 재사용하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이렇게 생성된 지식 콘텐츠는 비슷한 질문을 가진 제3자가 질문을 직접 하지 않고도 답을 얻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 축적된 질문-답변 쌍들은 어떤 면에서 우리의 지식체계를 구성하는 빌딩블록 (building block)으로써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 건물이 결국 작은 벽돌들의 결합으로 만들어지듯이 우리가 가진 지식들도 수많은 질문-답변 쌍들의 결합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나의 큰 지식을 잘게 쪼개면 결국 작은 질문-답변 쌍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이런 특징은 질문-답변 쌍들을 데이터베이스화했을 때에 그 가치를 증폭시킵니다. 다시 말해서 지식을 Q&A 형식으로 잘게 쪼개서 저장하게 되면 복잡한 지식의 더미 속에서 필요로 하는 부분만을 효과적으로 찾아낼 수 있게 되어 지식의 재사용성이 극대화됩니다.
위의 특징들 중 마지막 두 가지로 인해서 Q&A 형식이 IT기술과 접목되게 되면 막강한 힘을 발휘하게 됩니다.
자, 그럼 이제 구글 Q&A 검색에 대한 얘기로 넘어갈까요?
구글 Q&A 검색
검색 팁
이미 알고 계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구글에서는 특정 사이트를 대상으로 하는 검색 기능을 제공합니다. 가령 검색창에 [site:k.daum.net 차마고도]라고 입력하면 k.daum.net 사이트를 대상으로 "차마고도"라는 키워드를 검색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기능이 URL 패턴에도 적용된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가령 검색창에 [site:www.jisiklog.com/qa/ 1번 버스]라고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명시된 URL 패턴을 가진 페이지들을 대상으로 검색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따옴표(")와 와일드카드(*)를 함께 사용하기
검색창에 입력된 키워드들의 전부 혹은 일부를 따옴표를 감싸주면 감싸진 부분을 하나의 키워드로 인식해서 검색한다는 것은 많이 이미 알려진 사실입니다. 가령 ["think of"]라고 입력하면 'think'와 'of'를 따로 검색하여 그 결과를 합해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think of'를 마치 하나의 단어인 것 처럼 검색하게 됩니다. 그런데 여기에 와일드카드(*)를 함께 사용해서 좀 더 정밀한 검색을 할 수 있습니다. 가령 토마토가 많이 있을 때 토마토로 만들 수 있는 음식이 뭐가 있나 궁금하다면 검색창에 ["토마토* 만들기"]라고 입력해 보세요. 토마토로 만들수 있는 다양한 요리의 이름과 조리법을 만나실 수 있을 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