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웹]의 검색개방성 분석 첫 사례, 국사편찬위원회입니다
2014년 1월 13일 월요일
작성일: 2014년 1월 13일 월요일
안녕하세요.
오늘은 구글코리아와 한국인터넷전문가협회가 함께하는 [더 나은 웹(The Better Web)] 캠페인의 웹사이트(http://www.betterweb.or.kr/)를 소개합니다.
‘더 나은 웹’ 캠페인은 몇 년 전부터 구글에서 진행해 왔던 웹 개방성 캠페인의 일환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빠르고 쉽게 찾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웹 환경을 조성해보자는 취지로 시작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더 나은 웹]에서는 지난해 10월과 11월 웹마스터를 대상으로 하는 화상 클리닉과 오프라인 세미나를 개최한 바 있으며 앞으로도 1월에 예정된 화상 클리닉을 비롯하여 각종 세미나와 웹마스터 컨퍼런스 등 다양한 교육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더 나은 웹] 사이트에서는 웹마스터를 위한 열린 웹 구축 가이드, 구글 검색엔진 최적화 가이드 등의 자료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블로그를 통해 웹과 웹 검색, 웹의 역사 등 실무자와 일반인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실용적이고 유용한 자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갈 계획입니다.
특히 [더 나은 웹] 블로그에서는 웹사이트 운영자들이 실례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열린 웹 구축 방법을 모색할 수 있도록 국내 대표적인 웹사이트를 분석하여 사례로 제공해나갈 계획인데요, 그 첫 사례로 국사편찬위원회 웹사이트의 검색개방성을 분석하여 게재했습니다.
국사편찬위원회 웹사이트는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 등 한국사 관련 중요 사료와 많은 양의 한국사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국립 사료편찬 기관이지만 검색엔진을 차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현재 국사편찬위원회의 거의 모든 페이지는 메타 로봇(meta robots) 속성을 이용하여 검색엔진을 차단하고 있는데, 이러한 설정은 검색엔진이 해당 페이지를 색인하지 못하게 막아 결국 사용자가 국사편찬위원회 사이트 내의 콘텐츠를 검색할 수 없게 됩니다.
‘웹 개방성’과 ‘검색 최적화’, ‘모바일 최적화’의 세가지 부문으로 나누어 정리된 국사편찬위원회 사이트에 대한 보다 자세한 분석 내용은 [더 나은 웹]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의 요지는 웹사이트가 실제 검색엔진에서 어떻게 처리되고 있으며 무엇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보다 실질적으로 알려드리기 위함이며, 같은 유형의 문제를 가진 다른 웹사이트들도 참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니 앞으로도 꾸준한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작성자: 구글코리아 블로그 운영팀
안녕하세요.
오늘은 구글코리아와 한국인터넷전문가협회가 함께하는 [더 나은 웹(The Better Web)] 캠페인의 웹사이트(http://www.betterweb.or.kr/)를 소개합니다.
‘더 나은 웹’ 캠페인은 몇 년 전부터 구글에서 진행해 왔던 웹 개방성 캠페인의 일환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빠르고 쉽게 찾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웹 환경을 조성해보자는 취지로 시작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더 나은 웹]에서는 지난해 10월과 11월 웹마스터를 대상으로 하는 화상 클리닉과 오프라인 세미나를 개최한 바 있으며 앞으로도 1월에 예정된 화상 클리닉을 비롯하여 각종 세미나와 웹마스터 컨퍼런스 등 다양한 교육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더 나은 웹] 사이트에서는 웹마스터를 위한 열린 웹 구축 가이드, 구글 검색엔진 최적화 가이드 등의 자료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블로그를 통해 웹과 웹 검색, 웹의 역사 등 실무자와 일반인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실용적이고 유용한 자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갈 계획입니다.
특히 [더 나은 웹] 블로그에서는 웹사이트 운영자들이 실례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열린 웹 구축 방법을 모색할 수 있도록 국내 대표적인 웹사이트를 분석하여 사례로 제공해나갈 계획인데요, 그 첫 사례로 국사편찬위원회 웹사이트의 검색개방성을 분석하여 게재했습니다.
국사편찬위원회 웹사이트는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 등 한국사 관련 중요 사료와 많은 양의 한국사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국립 사료편찬 기관이지만 검색엔진을 차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현재 국사편찬위원회의 거의 모든 페이지는 메타 로봇(meta robots) 속성을 이용하여 검색엔진을 차단하고 있는데, 이러한 설정은 검색엔진이 해당 페이지를 색인하지 못하게 막아 결국 사용자가 국사편찬위원회 사이트 내의 콘텐츠를 검색할 수 없게 됩니다.
‘웹 개방성’과 ‘검색 최적화’, ‘모바일 최적화’의 세가지 부문으로 나누어 정리된 국사편찬위원회 사이트에 대한 보다 자세한 분석 내용은 [더 나은 웹]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의 요지는 웹사이트가 실제 검색엔진에서 어떻게 처리되고 있으며 무엇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보다 실질적으로 알려드리기 위함이며, 같은 유형의 문제를 가진 다른 웹사이트들도 참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니 앞으로도 꾸준한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작성자: 구글코리아 블로그 운영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