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블로그는 Google Keyword 블로그(영문)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 구글은 책임감 있는 AI의 발전을 위한 정책 아젠다를 제안하는
백서를 발표했습니다.
                             

이 블로그는 Google Keyword 블로그(영문)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 구글은 책임감 있는 AI의 발전을 위한 정책 아젠다를 제안하는
백서를 발표했습니다.

지난 주 구글 I/O 2023 에서 순다 피차이 구글 CEO가 말했듯이, 인공지능(AI)의 발전은 우리가 보았던 중 가장 큰 기술혁신의 하나입니다.  오늘날의 AI 모델은 단순히 정보를 얻고, 최적의 단어를 찾으며, 새로운 장소를 발견하는 방법을 개발해내는 것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완전히 새로운 과학 및 기술의 지평을 열어갈 수 있도록 도우며 발전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지금 수십억 명의 삶을 크게 개선하고, 비즈니스의 번창과 성장을 도우며, 우리 사회가 가장 어려운 질문에 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는 새로운 시대의 문턱에 서 있습니다.  동시에 우리 모두는 AI가 위험과 도전을 동반할 것이라는 점 또한 분명히 인식해야 합니다.   


구글은 이런 상황에서 대담하고 책임감 있게, 그리고 다른 이들과 협력하여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기술 발전의 중단을 요구하는 것은 성공할 가능성이나 효과를 볼 가능성이 낮습니다. 그리고 AI가 가져올 실질적 혜택을 놓칠 수도 있으며 AI의 잠재력을 받아들인 사람들에게 뒤쳐질 위험 또한 있습니다.  때문에 위험을 완화하면서도 기술 혁신을 다양한 혜택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정부, 기업 및 대학이 다 함께 많은 노력을 해야합니다.


몇 주 전 책임감 있는 AI 발전을 위한 공유 아젠다의 필요성을 설명할 때, 저는 AI를 올바르게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개별 사례, 공유된 업계 표준, 건전한 정부 정책이 필수적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오늘 구글은 각국 정부가 기회 창출, 책임 증진, 보안 강화라는 세 가지 핵심 영역에 집중할 것을 권장하는 AI 정책 권고안을 담은 백서를 발표합니다:


1. AI가 가져올 경제효과를 극대화하는 기회를 창출해야 합니다.

AI를 도입하는 국가는 성장을 가속화해 도입 속도가 느린 경쟁 국가를 앞서 나갈 것입니다. AI는 다양한 산업에서 더욱 복잡하고 가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고, 인구통계학적 문제에도 불구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AI는 AI 기반 제품과 서비스를 사용하여 혁신하고 성장하는 중소기업과 일상적이지 않고 보람 있는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직원들 모두에게 활력을 불어넣을 것입니다.


이를 제대로 실현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AI가 제공하는 경제적 기회를 활용하고 인력의 혼란 최소화를 위해 정책 입안자들은 AI 혁신과 그 경쟁력에 투자하고, 책임감 있는 AI 혁신을 지원하는 법적 체계를 장려하며, AI 기반 일자리 전환을 위해 인력을 준비시켜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정부는 국립 연구소 및 연구 기관을 통해 기초적인 AI 연구를 탐색하고, 책임감 있는 AI 개발을 지원하는 정책(예.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국경을 넘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개인정보 보호법)을 채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교육과 숙련도 향상 프로그램, 핵심 인재의 이동, 진화하는 미래 업무 방식에 대한 연구를 장려해야 합니다.


2. AI 기술의 오용 위험을 줄이면서 책임을 장려해야 합니다.

AI는 이미 전 세계가 질병부터 기후 변화까지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고 있으며, 진보를 위한 강력한 힘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책임감 있게 발전되고 공유되지 않는다면 AI 시스템은 잘못된 정보, 차별, 도구의 오용과 같은 현재의 사회적 문제를 더욱 증폭시킬 수도 있습니다. 또한 AI 시스템에 대한 신뢰와 확신이 없다면 기업과 소비자는 AI 도입을 주저하게 되어 AI의 혜택을 누릴 기회도 제한될 것입니다.


이를 제대로 실현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거버넌스에 대한 여러 이해관계자들의 다양한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인터넷의 사례를 통해 학습한 이해관계자들은 잠재적인 혜택과 도전과제를 모두 파악한 상태에서 논의를 해야 합니다. 일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AI의 이점과 위험, 그리고 이를 관리하는 방법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근본적인 연구와 해석역량 및 워터마킹과 같은 새로운 기술 혁신을 개발하고 구현해야 할 것입니다. 다른 과제들은 공통 표준과 공유된 모범 사례, 그리고 AI 기술이 책임감 있게 개발되고 배포되도록 하는 균형잡힌 위험 기반 규제를 통해 효과적으로 해결될 것입니다. 일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새로운 조직과 기관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선도적인 기업들이 모여 테러 대응을 위한 ‘테러리즘 대응을 위한 국제 인터넷 포럼(Global Internet Forum to Counter Terrorism, GIFCT)와 같은 이전 사례를 바탕으로 GFAI(Global Forum on AI)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민주적 가치를 반영하고 분열을 피하는 공통의 정책 접근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여러 국가들이 함께 힘을 합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3.글로벌 보안을 강화하는 동시에 기술의 약용을 방지해야 합니다.

AI는 글로벌 보안과 안정성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생성형 AI는 잘못된 정보 및 허위 정보를 생성하고 조작된 미디어를 식별 및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AI 기반 보안 연구는 고급 보안 운영 및 위협 인텔리전스를 통해 새로운 세대의 사이버 방어를 주도하고 있으며, AI로 생성된 취약점은 공격자의 더욱 정교한 사이버 공격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제대로 실현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첫 번째 단계는 AI의 악의적인 사용을 방지하고 악의적인 행위자에 대처하기 위한 기술적, 상업적 보호 장치를 마련하는 동시에 AI의 잠재적 이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모두가 공동으로 노력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각국 정부는 보안 위험으로 간주되는 AI 기반 소프트웨어의 특정 응용 사례와 글로벌 보안을 위협할 수 있는 방식으로 AI 관련 연구 및 개발을 지원하는 특정 단체에 대한 차세대 무역 통제 정책을 모색해야 합니다.


전 세계 정부, 학계, 시민 사회 및 기업들은 점점 더 강력해지는 AI 시스템이 안전에 미치는 영향과, 점점 더 정교하고 복잡해지는 AI를 인류의 가치와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더 잘 이해해야 합니다. 결국 보안은 모두가 함께 지켜야 하며, 이 분야에서 진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공동 연구, 동급 최고의 데이터 거버넌스 채택, AI 보안 취약성 관련 정보 공유를 위한 공공-민간 포럼 개최 등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마치며

구글은 잠재적인 도전 과제들이 충분히 고려되었을 때, 기회, 책임감, 보안에 중점을 둔 AI 정책 아젠다가 마련된다면 AI의 강점을 실현시키고 그 혜택을 모두에게 나누어줄 수 있다고 믿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AI는 규제의 필요성에 있어 너무 중요해 졌습니다. 싱가포르의 AI 검증 프레임워크(AI Verify framework)부터 영국의 AI 규제에 대한 친혁신적 접근 방식,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의 AI 위험 관리 프레임워크(AI Risk Management Framework)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각국 정부가 이러한 신기술에 대한 올바른 정책 프레임워크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것은 굉장히 고무적입니다. 구글 또한 이러한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작성자: 켄트 워커(Kent Walker), President of Global Affairs, Google & Alphabet


구글플레이가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과 공동으로 진행하는 국내 중소개발사 및 스타트업 상생 지원 프로그램 ‘창구 프로그램 5기’에 참여할 100개사를 선정하고 개발사 지원 여정에 나선다고 밝혔습니다.

구글플레이가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과 공동으로 진행하는 국내 중소개발사 및 스타트업 상생 지원 프로그램 ‘창구 프로그램 5기’에 참여할 100개사를 선정하고 개발사 지원 여정에 나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설명: 창구 프로그램 로고]

선정된 개발사 중 개인화 뷰티 큐레이션 서비스 ▲Zamface(주식회사 작당모의), 영토 확장 캐주얼 게임 ▲Idle Kingdoms(주식회사 알로하팩토리) 그리고 반려식물 종합 솔루션 ▲그루우(㈜그루우)가 감각적이고 완성도 높은 서비스로 심사위원들의 눈길을 사로잡아 Top3로 이름을 올렸습니다다. (순위순, 괄호 안은 개발사명) 특히 1위 Zamface(잼페이스)와 3위 그루우는 AI기반의 스타트업입니다.

‘창구’ 프로그램은 창업의 ‘창’과 구글플레이의 ‘구’ 등 앞자를 활용해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과 손잡고 국내 앱·게임 개발사의 콘텐츠 고도화 및 목표 시장 진출을 ‘창구’의 역할로 지원하는 성장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올해 5기를 맞은 창구 프로그램은 스타트업 지원이 위축되고 있는 시장 상황에서도 작년보다 20개사가 추가된 역대 최대 규모의 100개 개발사를 선정했다. 선정 기준은 콘텐츠 완성도, 혁신성, 글로벌 진출 가능성 등으로, 서류 평가, 앱 콘텐츠 시연 평가, 발표 평가 등을 거쳐 올해에는 게임, 웰니스와 헬스케어, 예술, P2P 등 다양한 부문의 개발사가 참여합니다.

창구 프로그램은 2019년 최초 출범한 이후 올해로 5회째를 맞으며 1기부터 4기까지 총 300개사가 참여, 국내 앱·게임 개발사라면 꼭 참여하고 싶은 대표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3기까지의 누적 성과로는 ▲누적 매출 성과 62% 증가 ▲해외 진출 비율 69% 증가 ▲유치된 투자액 2,012억원 이상 ▲신규 다운로드 140% 증가 등을 달성한 바 있습니다

창구 프로그램에 선정된 참여사들을 살펴보면 창업 생태계의 흐름 및 트렌드 또한 한눈에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번 창구 프로그램 5기는 AI 및 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큐레이션 서비스를 다수 찾아볼 수 있었으며, 문화·교육·헬스케어 등 실생활에서의 편의성을 앞세운 플랫폼 앱들도 주목을 받았습니다.

구글플레이는 창구 프로그램 5기에 선정된 모바일 앱·게임 스타트업 총 100개 개발사에게 비즈니스 역량 강화 및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우선, ▲홍보 영상 제작 또는 캠페인 운영을 지원하는 마케팅/홍보부터 ▲창업 성장지원 세미나 ▲글로벌 비즈니스, UA 마케팅 광고 수익화를 위한 1:1 심층 컨설팅 ▲다수의 벤처캐피털을 대상으로 투자유치를 지원하는 데모데이 등의 참여 기회가 주어집니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위기 단계가 낮아지면서 더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창구 프로그램 졸업사 간의 정기 교류 ▲해외에서 진행되는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 글로벌 이머전 트립(Global Immersion Trip) ▲구글 I/O 설명회 등이 신설됐습니다.

김경훈 구글코리아 사장은 “올해로 5년째를 맞은 창구 프로그램은 K-앱·게임 개발사들이 전세계를 무대로 날개를 펼칠 수 있도록 돕는 ‘성장의 창구’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창구 프로그램을 거쳐 간 선배 스타트업들이, 이제는 조언과 지원을 해줄 수 있는 소중한 자원으로 축적되고 있는 것도 이 프로그램이 가진 귀중한 자산”이라며 “올해는 더 많은 개발사들에게 기회를 열어드리고자 규모를 확장했으며, 새로운 프로그램도 신설해 지원하는 만큼 참여사들에게 좋은 성과가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창구 프로그램 5기 Top 100 개발사 명단>

순위

기업명

콘텐츠명

1

주식회사 작당모의

Zamface

2

주식회사 알로하팩토리

Idle Kingdoms

3

(주)그루우

그루우

4

아루

자기만의방

5

주식회사 커넥트아이

열달후에 - 임신성공예측, 태아부터 육아까지 통합관리

6

주식회사 넥스트에디션

캠핏

7

오누이

설탭

8

(주)부에노컴퍼니

마트장보고

9

주식회사 더엔젤브릿지

법무픽

10

주식회사 메딜리티

필아이 Pilleye

11

레드빅주식회사

TRAVUT

12

블루시그넘 주식회사

하루콩: 하루를 기록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

13

주식회사 스위치원

외환 수수료 없는 비대면 P2P 매칭 온라인 환전 플랫폼 스위치원

14

주식회사 엘엑스앤에이글로벌

럭셔리앤올

15

(주)데이터유니버스

휴대폰분실보호

16

주식회사 스페이스프로브

전설의 공격대

17

어브로딘

어학연수/유학 중개 플랫폼 “뉴학(newhak)”

18

주식회사 빅크

빅크

19

주식회사 맞추다

맞추다 : 자격증 CBT 기출 완벽학습

20

주식회사 컬러버랩

컬러버

21

주식회사 마유비

베럽

22

주식회사 미니맵

게임추천 및 평가 앱 미니맵의 고도화 및 북미 런칭

23

주식회사 인터갤러틱

로클(LOCL)

24

구십육퍼센트(96%)

던전슬래셔 : 픽셀 액션 RPG 로그라이크

25

주식회사 인디조이

레전드 오브 킹덤

26

주식회사 밸류메이커스

MOTIVE : Daily Motivation

27

창업인

테이블로

28

(주)로드스타즈

Zombie Wake

29

주식회사 펑키바인

Farm Raid

30

브레즐

마이 리틀 하우스

31

(주)앨리스 헬스케어

윌로키즈

32

주식회사 블랙탠저린

COCON

33

주차장만드는사람들(주)

주만사

34

(주) 에프앤에스홀딩스

FASSKER (패스커)

35

코이랩스 주식회사

KOKIRi

36

스토리타코

아르카나 트와일라잇

37

(주)펫페오톡

도기보기

38

믹스포션

별의 여행자 라라

39

주식회사 일리오

팬심M - FANCIM M

40

주식회사 에이치투케이

소중한글: 즐거운 속도로 배우는 한글공부

41

주식회사 로이쿠

로이쿠 (LOYQU)

42

캐셜롯

달에 쓰는 일기

43

주식회사 레티튜

The Pond

44

주식회사 스타일셀러

스타일셀러

45

(주)후야호

말랑이 온라인

46

주식회사 스핀스파이럴

배틀스트리머즈 - 소녀키우기

47

(주) 윌림

엔젤톡

48

주식회사 킬로

밀리그램 (mealligram)

49

스타라이크 주식회사

식스타 게이트: 스타트레일

50

누트컴퍼니주식회사

위버딩(WeBudding)

51

코코넛사일로 주식회사

COCOTRUCK

52

주식회사 디제너레이션엑스

히어로 웨이브

53

주식회사 짠컴퍼니

짠(JJAANN)

54

주식회사 인디펜던트

니짐내짐

55

루센트블록

소유

56

모노크래프트

Photo Cleaner

57

주식회사 콘티고

콘티고

58

주식회사 아일로

하플 (HAPL)

59

주식회사 루빗

루빗

60

주식회사 소울유니버스

소울톡

61

애니폭스

스낵스타운

62

열매컴퍼니

아트앤가이드

63

주식회사 너드프렌즈

뚜잇DDOIT

64

주식회사 엘비에스테크

WheelVi

65

주식회사 데카르트 (Descartes Co., Ltd.)

데카르트

66

푼타컴퍼니

식후경

67

주식회사 딥센트

딥센트 - 나만의 향기 찾기

68

주식회사 튜닙

MintChoco (민트초코) : 속 시원한 대화 광장

69

리얼타임 게임즈

소녀전기: 방치형 액션 RPG

70

케이팝팩토리 주식회사

튠잼(TUNEGEM)

71

뉴닉

뉴닉

72

아테나스랩 주식회사

오늘학교

73

스크리나

와치파티

74

(주)지오에이티컴퍼니

가전나우

75

(주) 퍼니뎁

어나더 월드

76

주식회사 위트레인

운동닥터

77

주식회사 퍼즐몬스터즈

닌자 서바이벌 온라인

78

런바디

inbody

79

주식회사 루트쓰리게임즈

데미갓 키우기 : 방치형 액션 RPG

80

(주)프롬더레드

젬파이(ZEMPIE)

81

주식회사 유닛미

모티너스

82

주식회사 네모즈랩 (Nemoz Lab Inc.)

네모즈 Nemoz

83

주식회사 파우드래곤컴퍼니

냥냥섬 : 전설의 집사

84

(주)마이턴

라바 서바이벌

85

퍼플눈

젠틀사이코

86

(주)콘텐츠마당

팬캐스트(Fancast)

87

주식회사 사업노트

데이터솔루션 기반 통합 경영관리 플랫폼 '사업LAB'

88

(주)디어메타

FFC (Four Fight Club)

89

주식회사 키햐

키햐

90

주식회사 라텔게임즈

스퀘어 하츠

91

삼화이노랩

창업픽

92

브이씨소프트(주)

APL골프 : GPS 골프 거리측정어플

93

(주)인포플라

USeeNow

94

주식회사 나이비

흐름

95

플로트릭 주식회사

스쿼드 가디언

96

(주)에스지에이이스포츠

게임의민족

97

주식회사글래드파크

SayDuo(세이듀오)

98

키위스튜디오

리틀피카소

99

시스테크솔루션 주식회사

NearRing

100

(주)아이디자인랩

FunPik 2.0



작성자: 구글코리아 블로그 운영팀